본문 바로가기
Enjoy Culture

A Star is Born (2018, 스타 이즈 본) - 리메이크는 아무나 하나.

by BrandNewLEEKA 2023. 4. 17.
반응형

레이디 가가에 대한 선입견을 완전히 뒤집어 영화. 그녀의 퍼포먼스에 가창력이 묻혔다는 영화를 통해 완벽하게 알아 차릴 있었다. 이런 류의 영화는 스토리가 뻔할 수밖에 없지만, 추락한, 혹은 추락하기 일보 직전의 유명 스타와 재능이 넘치지만 그에 맞는 영광이 아직 찾아오지 않은 무명 가수.

스타 탄생이라는 영화의 리메이크작이라고 하는데, 스타 탄생은 무려 1930년대에 나온 영화이고, 3번째 리메이크가 바로 스타 이즈 본이다.   이런 스토리가 탄생했는지 작품 시기를 보면 이해가 된다

 

1. Casting – 진짜 스타의 놀라운 변신

- Bradley Charles Cooper as 잭슨 메인: 영화의 감독이자 남자 주인공. 알코올 중독 유명 스타이다.

- Lady GaGa as 앨리: 여자 주인공이자 영화의 사운드 트랙을 담당하였다. 

- Andrew Dice Clay as 로렌조: 앨리의 아버지

 

2. Plot – 예비 스타와 이미 유명한 스타의 만남과 사랑

언제나처럼 공연이 끝나고 혼자 마실 곳을 찾던 잭슨은 운명적으로 눈에 보이는 아무 곳이나 들어가고, 술집에서 일하는 앨리의 공연을 보게 된다. 비록 조그마한 술집에서의 공연이지만, 잭슨은 한순간에 그녀의 재능에 매료 당한다.

이후 잭슨은 압도적인 재능을 가진 그녀를 도와 그녀가 꿈을 이룰 있도록 전폭전인 지원을 한다. 그런 과정에서 둘의 사랑은 깊어지고 그녀는 신인 가수로 점차 성공에 가까이 다가간다.

그러나, 그녀가 성공에 가까워질수록 잭슨은 점차 무너져 가는데, 자신의 어두운 과거, 이명이라는 가수에게는 치명적인 질환, 그리고 알코올 중독으로 잭슨은 추락의 늪에 더욱 깊게 빠져든다.

그러나 둘의 사랑은 여전했기에 둘은 결혼하여 함께 지내지만, 잭슨의 중독 증세를 막을 없었다. 결국 앨리의 그래미 시상식에서 사고를 잭슨은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기로 하였다. 그러나 잭슨의 사고로 월드 투어가 무산되자 앨리의 매니저로부터 모진 말을 듣고 나약해질 대로 나약해진 잭슨은 결국 스스로가 생각하는 앨리를 위한 선택을 하고 만다. 혼자 남은 앨리는 무대에서 잭슨을 그리워하며, 이외의 다른 사랑은 없다는 선언을 하듯 “I’ll never love again.” 열창한다.

 

3. OST – 영화만큼이나 흥행한 사운드트랙

18개의 오리지널 송과 1개의 리메이크 , 15개의 다이얼로그로 34개의 트랙이 수록되어 있다. 영화의 곳곳에서 활약하는 음악으로 대흥행하였고, 음악적, 상업적 성공하였고, 레이디 가가의 2 전성기를 가져다 주었다.

- Swallow: 영화의 주제곡. 영화의 첫번째 싱글로 발매되었고, 감독인 브래들리 쿠퍼가 노래를 제일 좋아한다고 밝힐 정도로 주제곡 다운 판매량을 자랑한다.

- Always Remember us This Way: 영국 한정으로 2018 11 24 싱글컷 되었으며, 리드 싱글인 Shallow 다음으로 반응이 좋았는데, 레이디 가가의 부드러운 음색과 잔잔한 피아노 사운드만으로 이뤄진 곡이다.

- I’ll Never Love Again: 정식 싱글은 아니지만, 영화의 엔딩을 장식하고, 가장 많이 사랑받은 곡이다. 레이디 가가의 가창력이 빛을 발하며, 잭슨에 대한 그리움과 추모하는 마음을 절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4. 영화와 OST 완벽한 앙상블

내용이 신파이지만, 고전은 이유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이다. 너무나 익숙한 스토리를 드라마틱하게 연출한 브래들리 쿠퍼의 감독 데뷔작이고, 퍼포먼스에 묻혀 가창력을 인정받지 못하던 레이디 가가의 가수로서의 정면 돌파이자 2 전성기를 가져다 영화인데, OST까지 완벽하게 흥행하다니, 첫술에 완벽하게 허기를 달랜 그런 영화이다.

대개는 영화에서 저렇게 누군가의 헌신으로 성공하게 되면, 자기가 잘나서 언젠가는 성공이었던 것처럼 오만해지기 마련인데, 이런 공식을 과감히 탈피하여 타인의 헌신과 노력을 잊지 않고, 서로를 끝까지 생각하는 주인공들의 사랑에 공감은 안되지만, 그래도 이런 사랑이 보편적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기에, 영화의 이런 결말이 너무 마음에 든다.

반응형

댓글